본문 바로가기

Repository of idea11

첫번째 프로젝트 1주차 후기 처음으로 프론트,백 나눠서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처음으로 해보게 되었다 물론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것은 아니고 클론코딩으로 기존에 있던 웹사이트를 따라서 만드는 것이지만 모든 코드는 스스로 작성하고 로직도 스스로 구성해야 하며 해당 사이트와 완전 똑같이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해당 사이트의 틀을 가지고 비슷하게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백엔드인 나는 팀원들과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부터 작성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해당 사이트를 보면서 프론트의 팀원들과 어떤 페이지를 구현할것인지 정하고 구현할 페이지에 맞춰 어떤 데이터가 필요할지 고민하며 만들었다. 정말 간단한 테이블 3~4개의 ERD를 가지고 연습해본적은 있지만 직접 커머스 사이트의 데이터를 ERD로 구성하려고 하니 처음에는 막막하기도 하고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2021. 12. 3.
개발공부를 시작한지 그 얼마 되지도 않아서.. 개발 공부를 시작한지 얼마 되지도 않아서 너무 많은 정보와 지식에 압도되어 질식할것같은 기분이 든적도 있었다. 생각을 정리하며 공부에 접근하는 자세를 바꾸기로 했다. 마치 자동차의 기계공학적 메커니즘을 하나도 모르면서도 운전면허를 따고 문제 없이 지금껏 무사고 운전을 하고있는 것처럼, 웹서비스를 사용자의 입장에서 손쉽고 또 편리하게 이용해 왔었다. 내가 직접 이 서비스를 만들어 보고자 뛰어 들었을 때, 생각없이 별것 아닌 것 처럼 접했던 모든 기능은 깊이 고민해서 만든, 각각의 합당한 이유가 있는 기능들로 변모했다. 너무나 당연히 필수적인 기능들을 구현하는 데도 한참이 걸렸지만 그보다 그 한줄 한줄 새로운것을 만날떄 마다 "이게 뭘까? 저건 뭘까?" 명쾌히 아는 것 없이 또다시 새로운 것을 만나고 완전히.. 2021. 11. 27.
다른 사람과 나의 경제상황을 비교할때 링크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1/4/4/index.board?bmode=read&bSeq=&aSeq=386732&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2020 (가구주 연령대별 가구 자산 통계 다 나와있음) http://www.wage.go.kr/index.jsp 임금직무정보시스템 (연령, 학력, 업종별 체크해서 평균임금 중위임금 값 다 찾을 수 있음) https://www.shinhan.com/hpe/index.jsp#902301000000 신한은행 보통사람금융생활보고서 (매년 업데이트되며 연령대별로 어디에 돈쓰는지 다 나옴) 2021.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