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eancode10

[TIR]cleancode 코드리팩토링 해보기 실습 아래의 코드를 리팩토링해서 #BEFORE from typing import List class Client: active: bool def email(client: Client) -> None: pass def email_clients(clients: List[Client]) -> None: """Filter active clients and send them an email. """ for client in clients: if client.active: email(client) 어떻게 바꿔야할지 이유를 생각해보고 리팩토링하기 #AFTER from typing import List class Client: active: bool def email(client: Client) -> None: pass d.. 2022. 2. 11.
[TIR]cleancode 10.클래스 DAY 20~21일차 🔖 오늘 읽은 범위 : p.172~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큰 클래스 몇 개가 아니라 작은 클래스 여럿으로 이뤄진 시스템이 더 바람직하다. p.177 대다수의 시스템은 지속적인 변경이 가해진다. 깨끗한 시스템은 클래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변경에 수반하는 위험을 낮춘다. p.185 시스템의 요소가 서로 잘 격리되어 있으면 각 요소를 이해하기도 더 쉬워진다. p.190 🤔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클래스 설명은 만일,그리고,-하며,하지만(if,and,or,but)을 사용하지 않고서 설명가능해야한다. 는 말이 직관적으로 와닿았다.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는 이 챕터의 주제를 잘 표현해주는것 같다. 🔎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 2022. 2. 10.
[TIR]cleancode 7,8,9 중간점검 DAY 19일차 1. What is better, to throw Exceptions or return error codes? /Exceptions 2.When should we write try/catch/finally? * / First, before we write any code. 3.What kind of information should our error messages have? * /The operation that failed, type of failure, more information about the error. 4.Why shouldn’t we return ‘null’ from methods/functions? */We might forget to check for null and.. 2022. 2. 9.
[TIR]cleancode 7.오류 처리 DAY 14~15일차 🔖 오늘 읽은 범위 : p.130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뭔가 잘못되면 바로 잡을 책임은 바로 우리 프로그래머에게 있다. p.130 깨끗한 코드는 읽기도 좋아야 한다. p.142 오류 처리 프로그램 논리와 분리해 독자적인 사안으로 고려하면 튼튼하고 깨끗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p.142 🤔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TDD방식으로 개발하는 것이 아직 익숙치 않아서 예외처리를 하고 오류를 미리 관리하거나 혹은 프로그램의 의도에 맞게 사전에 예외처리 하는 것들이 익숙치 않고 명확히 어떤 기준으로 사용할지에 대해서 막막했는데 어느정도 기준과 원칙을 알게되었다. 🔎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소감 3.. 2022.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