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rst step/web depeloper step1

Unit Test

by Joshua21 2021. 12. 15.

유닛 테스트란, 내가 작성한 코드의 가장 작은 단위인 함수를 테스트하는 메소드 입니다. 그래서 내가 작성한 로직 을 테스트하는 유닛테스트 코드를 짜서 테스트하게 됩니다.

백엔드 개발을 하면서 장고를 배우고 있는 나는 장고 서버를 동작시키고 Httpie 나 포스트맨으로 주로 Integration 테스트를 수행하면서 개발을 했었다. Integration 테스트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돌려야 하고 메모리가 유닛테스트보다 더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비용도 비싸고 시간도 많이 걸린다.

 

전체 테스트 비중을 아래와 같은 수치로 구현하는 것이 권장됨

End-To-End Testing / UI Testing - 10%

크롬 브라우저를 띄운다음에 내가 만든 검색페이지로 들어가서 검색을 해보고 검색한 내용이 제대로 나오는지 화면상에서 확인하거나 직접 회원가입을 해보고 회원가입후에 로그인 되는지 직접 브라우저 상에서 값을 입력해서 테스트 하는방법

실행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부정확 하며 실행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UI Testing은 자동화 하기가 가장 까다롭고 또 실행하기도 까다롭습니다.

 

Integration Testing - 20%

최소 두개이상의 클래스 또는 서브 시스템의 결합을 테스트하는 방법,예를들면 장고로 서버를 띄우고 모델 클래스와 결합하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연동한 테스트,Postman 또는 httpie로 호출해서 Json response가 제대로 출력되는지 확인

 

Unit Test - 70%

유닛 테스트는 UI Test 또는 Integration Test 보다 테스트 비용이 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UI Test는 백엔드 서버와 프론트를 연동하여 사람이 직접 테스트하지만, 유닛 테스트는 사람이 스크립트로 한꺼번에 자동으로 실행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테스트에 비해서 실행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그래서 유닛테스트를 활용하면 하루에도 배포를 여러번 할 수 있어 개발 및 배포 속도에 중요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때 유닛 테스트를 잘 작성해놓으면 중장기적으로 유지 보수가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 즉, 이전에 통과했던 테스트 집합을 가지고 버그를 찾기 위해서 이전에 테스트 되었던 유닛테스트를 반복하는것을 regression 테스트라고 하는데 유닛테스만 반복하면 되기 때문에 regression 테스트도 반복적으로 수행 할 수 있습니다

 

유닛테스트를 잘 짜놓으면 유닛테스트가 되었던 코드에서는 버그가 거의 발견되지 않고 대부분 버그가 발견되는 경우는 유닛테스트가 없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만약 사후에 발견된 버그에 대해서도 버그를 수정한 후 유닛테스트를 작성해놓으면 버그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Unit test를 구현할때 지켜야 하는 일반적인 원칙

테스트 유닛은 각 기능의 가장 작은 단위에 집중하여, 해당 기능이 정확히 동작하는지를 증명해야 합니다.

각 테스트 유닛은 반드시 독립적이어야 합니다. 각 테스트는 혼자서도 실행 가능해야하고, 테스트 슈트로도 실행 가능해야 합니다. 이 때, 호출되는 순서와 무관하게 잘 동작해야 합니다. 이 규칙이 뜻하는 바, 새로운 데이터셋으로 각각의 테스트를 로딩해야 하고, 그 실행 결과는 꼭 삭제해야합니다. 보통 setUp() 과 tearDown() 메소드로 이런 작업을 합니다.

 

테스트가 빠르게 돌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테스트 하나가 실행하는데 몇 밀리세컨드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면, 개발 속도가 느려지거나 테스트가 충분히 자주 수행되지 못할 것입니다. 테스트에 필요한 데이터 구조가 너무 복잡하고, 테스트를 하려면 매번 이 복잡한 데이터를 불러와야 해서 테스트를 빠르게 만들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무거운 테스트는 따로 분리하여 별도의 테스트 슈트를 만들어 두고 스케쥴 작업을 걸어두면 됩니다.

 

테스트 함수에는 길고 서술적인 이름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테스트에서의 스타일 안내서는 짧은 이름을 보다 선호하는 다른 일반적인 코드와는 조금 다릅니다. 테스트 함수는 절대 직접 호출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테스트 코드의 또다른 사용 방법은 새로운 개발자들을 위한 안내서로 쓰는 방법입니다. 이미 만들어져 있는 코드에서 작업해야할 경우, 관련 테스트 코드를 돌려보고 읽어보는 것이야말로 가장 좋은 시작점일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테스트 코드를 돌려보면 어느 지점이 문제인지, 수정하기 어려운 곳은 어디일지, 막다른 골목은 어디일지를 발견하게 됩니다. 몇 가지 기능을 추가해야 한다면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그 새로운 기능이 아직 돌아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는 테스트를 붙여넣는 것입니다.

'First step > web depeloper step1'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1  (0) 2021.12.23
역참조 ,join 이해해보기  (0) 2021.12.17
select, prefetch related  (0) 2021.12.08
Dr Jart 클론 프로젝트 간 새롭게 사용한 것  (0) 2021.12.07
RESTful API  (0) 2021.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