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는그냥 멋있어 보여서 윈도우에어 cmder를 설치해서 디렉토리를 들락 나락 거려보기만 했기 떄문에 터미널사용법에 대해서 기초적인것도 잘몰랐고 매번사용하는 GUI는 익숙하지만 CLI는 굉장히 생소했다. 예전에 데스트탑 컴퓨터를 셋팅할때 bios화면을 보면서 설정을 바꾸어 본적도있지만 요즘은 심지어 bios화면마저 GUI형태로 나오는 곳이 많기 때문에 더욱더 CLI와는 어색한 사이였었다. 가까운 미래에 CLI로 많은 생산적인 일을 하고 마우스는 별로 만지지도 않고 다양한 일을 수행할수있는 미래를 그리며 터미널과 버전관리를 위해 git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평생 살면서 윈도우와 안드로이드를 벗어나본적이 없던 나의 경우 맥os와 ios만해도 생소한 경험이 될텐데 리눅스를 사용하는 법을 익히기 시작했다.
리눅스는 오픈 소스 os로 무료이기도하고 수정배포가 가능한점 때문에 다양한 곳에서 서버용으로 사용하고있다고 한다.
리눅스의 디렉토리
bin은 Binary의 약자. OS의 최소한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이 들어있는 폴더. cat, chmod, chown, cp, date, echo, kill, ln, ls, mkdir, etx 와 같은 기초적인 프로그램들이 포함되어있다.
usr은 user의 약자. 각 유저 이름에 해당하는 폴더이름이 존재. 각 폴더마다 bin, sbin, shared, lib과같이 각 유저들이 사용할 수 있는 폴더가 생성되어 있음. 각각의 유저별로 다른 파티션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 록 마운트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수정할 수는 없음.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는 cd, ls, pwd, mkdir, rm, rm -rf, cp, mv, ., .., /, ~등이 있다.
vi 에디터로 파일을 수정하는 법도 연습했었는데 오늘이후로 vim을 설치해서 사용해보려고 노력중이다.
Git의 공식 명칭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VCS) 입니다.
쉽게 말해, 프로젝트 파일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프로젝트의 변경 사항을 기록하고, 특정 시점의 버전으로 언제든 돌아갈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협업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각 개발자가 자신만의 프로젝트 버전을 본인 컴퓨터에 갖게됩니다.
깃을 설치하고 나서는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을 통해 본인정보를 입력한다.
Git repository는 Git으로 관리하는 프로젝트 저장소입니다. (쉽게 말해 폴더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후 git init 이 명령어는 프로젝트 폴더 내에 숨겨진 .git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이제 Git은 현재 저장소에 대한 모든 변경사항을 추적/관리하게 됩니다.
현재 버전의 코드를 커밋에 저장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커밋 히스토리에 필요한만큼 커밋을 생성 할 수 있으며, 커밋 간 앞뒤로 이동하여 프로젝트 코드의 다른 변경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프로젝트 폴더에서, git add 라는 명령어를 통해 우리가 원하는 파일들을 staging area 로 추가해줄 수 있습니다.
git add 명령어를 사용하여 모든 파일을 staging area에 추가 해주었다면 이제 커밋을 남길 준비가 되었습니다. git commit -m "Commit message"
git status 명령어를 통해 어떤 파일이 수정, 추가 또는 추적되지 않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log 명령어를 통해 보여지는 log는 각 커밋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작성자, hash 값, 날짜와 시간, 그리고 커밋 메세지)
만약 특정 커밋 시점의 코드로 되돌리고 싶다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정 커밋 시점의 코드로 되돌리고 싶다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
git checkout <commit-hash>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
git branch <new-branch-name>
다른 브랜치로 이동
git checkout <branch-name>
다른 브랜치를 현재 브랜치와 병합
git merge <branch-name>
브랜치를 삭제
git branch -d <branch-name>
Git은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파일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는 도구입니다.
GitHub은 Git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위한 호스팅 서비스입니다.
Common Workflow: 내 로컬 Repository를 GitHub 에 push 하기
- 로컬에서 add / commit 한다.
- Github 으로 이동 후 새 repository를 생성한다.
- 나의 로컬 repository 를 GitHub repository 와 연결한다. (remote 추가)
- 새 remote 를 이용하여 코드를 Push 한다.
git remote add origin 명령어는 내 컴퓨터에 있는 로컬 repository 와 방금 만든 GitHub repository 를 연결해줍니다. 쉽게 설명하면, 로컬 Git repository 에게 이름이 origin 이라는 어떤 URL을 알려주는 것과 같습니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git
git push -u origin master
'First step > web depeloper step1' 카테고리의 다른 글
django 연습용 환경구성 시퀸스 (0) | 2021.11.16 |
---|---|
개발환경 준비 명령어 (0) | 2021.11.13 |
웹 기초 상식 정리 (0) | 2021.11.12 |
python repl.it 28번 (0) | 2021.11.04 |
html,css 기초 (웹사이트에 이미지를 넣는 방법) (0) | 2021.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