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컴퓨터의 내부 구조, 2언어로써 파이썬 , 3예약어,순차문,조건문 및 반복문
4변수,표션식문장 5연산자,데이터 타입 및 타입변환
퀴즈는 예약어(reserved word) 찾기 / 간단한 while문과 if문을 거쳐 결과값으로 옳은 것 고르기
연산자에 관한 간단한 문제 연산의 우선순위에 대한 문제 문자열,숫자열을 +기로 합치는것 문자열이었던 숫자를 정수로 변환하는 것등이 나왔다.
첫주 이기도 하고 비교적 쉬운내용이었지만 컴퓨터의 하드웨어부터 간단하게 설명해주고 시작해서 흥미롭게 들었고
퀴즈랑 미션은쉬운 편이었지만 역시나 코딩은 같은 기능을 코더들마다 다양하게 구현한다는 것을느낀게
간단하게 한국나이를 국제나이로 변환하는 코드를 짜는 미션이었는데
if,else로 처리한사람 간단히 나이를 입력받고 계산하는 사람, 출생년도로 나이를 계산하는 사람등 다양한 방법론이 제시 되었다.
팀원은 간결하게 짠 코드가 무조건 적으로 좋은것인가 하는 고민을 얘기했고 나는 협업을 해야하는 개발자의 관점에서는 변수나 클래스이름이 조금 길어지더라도 이해하기 쉽게 써주는게 좋다고 생각했고 같은 기능을 구현하더라도 사용자가 사용하면서 발생할수있는 오입력으로 인한 에러등등 다양한 제한사항을 예외처리해서 프로그램이 실행,유지가능 하도록 짜는게 좋지않을까 생각해봤다. 물론 코드가 간결할수록 실행속도가 더빠를수도있지만 지금 나의단계에서는 몇줄안되는 코드이기때문에 큰 의미는 없을것 같고 코드가 몇만줄로 길어지더라고 발전하는 하드웨어로 인해 요즘에 이르러서는 큰 문제가 안될꺼 같다는 생각도 했다.
현업 개발자분의 코칭 시간이 있었는데 이번주에 내가 공부하거나 알아봐야 할것들을 생각하게 되었다.
코딩을 하면서 모든 코드를 직접다 생각하고 짜는것은 비효율적이고 적절한것을 찾아서 알맞게 가져다 쓰는 것이 필요하다 코드를 짜면서 변수이름을 설정할떄는 내 코드를 이어서 짤 사람을 고려해서 짠다. 변수가 표현하는것을 단어로 서술할것, 변수이름은 동사보다는 명사를 사용할것, 전치사는 되도록 붙이지 말것, 너무 길지도,짧지고 않게 사용할것 협업하는사람들의 코드를 보면서 비슷하게 맞추는 센스가 필요함
Markdown 형식으로 깔끔하게 read.me 작성 하는법 알아보기 Flask, FastAPI 가 뭔지 알아보기 https://www.vuno.co/ : 바이오 데이터 관련 기업
'First step > 언어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주차 (0) | 2021.08.07 |
---|---|
2주차 조건부 실행, 함수 (0) | 2021.08.02 |
깃허브에 코드로 자료 올리기 (0) | 2021.07.02 |
[TIL]CSS 기초 (0) | 2021.06.30 |
[TIL]HTML 기초 (0) | 202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