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12~13일차
🔖 오늘 읽은 범위 : p.118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객체는 동작을 공개하고 자료를 숨긴다. 기존동작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새 객체 타입을 추가하기는 쉬운 반면, 기존 객체에 새 동작을 추가하기는 어렵다 p. 127
- 자료구조는 별다른 동작없이 자료를 노출한다. 그래서 기존 자료 구조에 새 동작을 추가하기는 쉬우나 기존함수에 새 자료 구조를 추가하기는 어렵다. p.127
- 개발자는 편견 없이 이 사실을 이해해 직면한 문제에 최적인 해결책을 선택한다. p.128
🤔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자료구조를 사용하는 절차적인 코드는 기존 자료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새함수를 추가하기 쉽다. 반면, 객체 지향 코드는 기존 함수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새 클래스를 추가 하기 쉽다. 절차적인 코드는 새로운 자료구조를 추가하기 어렵다. 그러려면 모든 함수를 고쳐야 한다. 객체 지향 코드는 새로운 함수를 추가하기 어렵다. 그러려면 모든 클래스를 고쳐야 한다. 자료구조에 대한 이해도가 더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 이번 장은 이해가 어려웠다. 자료구조에 대한 이해가 더 필요한것 같다
소감 3줄 요약
- 객체 지향적 코드 구성은 여러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지만 항상 옳지는 않다.
- 절차 지향적 코드 역시 객체 지향적 코드와 다른 장점이 있다.
- 객체와 자료구조를 어떻게 사용할것인지에 대해서 고심하고 효율적인 문제해결을 위해 취사선택 할수있을 만큼 경험과 이해가 필요하다.
'개발 외의 것들 > 책을읽읍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R]cleancode 4.5.6 중간점검 (0) | 2022.02.03 |
---|---|
[TIR]cleancode 7.오류 처리 (0) | 2022.02.02 |
[TIR]cleancode 5.형식 맞추기 (0) | 2022.01.31 |
[TIR]cleancode 4.주석 (0) | 2022.01.29 |
[TIR] cleancode 3. 함수 (0) | 2022.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