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phQL 쿼리 언어는 기본적으로 객체에서 필드를 선택하는 것에 관한 것이라는 것
{
hero{
name
skills
}
}
1. root 객체에서 시작해서 2. root 객채의 hero 필드를 선택하고 hero 객체에서 name,skills 필드를 선택하여 요청했다.
GraphQL 쿼리가 결과와 비슷하기 때문에 우리는 서버에 대해서 알지 않아도 뭐가 리턴될 것인지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필드를 선택할 수 있는지, 어떠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는지, 어떠 객체가 리턴될 것인지, 어떠한 필드가 하위 객체에서 선택 가능한지 등에 대한 설명이 있으면 유용할 것이다. 이는 스키마를 통해 알수 있다.
각 GraphQL 서비스는 해당 서비스에 요청 할 수 있는 가능한 데이터 set 을 보여주는 set of types 을 정의한다. 그리고 쿼리가 들어오면, 그 서비스는 유효성을 검사하고 해당 스키마에 따라 실행한다.
$표시가 변수앞에 붙는 경우가 많아서 무슨 소리인지 찾아봤는데 jQuery를 사용하는 개발자가 jQuery 객체를 포함하는 변수앞에 붙이는 것이라고 한다.
introspect
tyrpeDef -> Django의 models.py 처럼 DB의 스키마에 어떤 컬럼과 어떤 타입의 값이 들어가는 지 정의함
resolvers -> Django의 views.py처럼 어떤 형태로 DB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가공할것인지 정의함
'First step > web depeloper step1'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 ts / nexus-prisma 프로젝트 다시보기용 (2) | 2022.01.17 |
---|---|
$ 표시가 무었인가요.. (0) | 2022.01.10 |
Docker-compose (0) | 2022.01.07 |
[인턴 1일차]좌충우돌 용어정리 (0) | 2021.12.29 |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란? (0) | 2021.12.29 |